아두 이노 Led | 아두이노 예제1 Led 깜빡이기 빠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아두 이노 led – 아두이노 예제1 LED 깜빡이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fordvinhnghean.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fordvinhnghean.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코딩런 IT [Codingrun IT]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71,230회 및 좋아요 29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아두 이노 led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아두이노 예제1 LED 깜빡이기 – 아두 이노 led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아두이노 예제1 LED 깜빡이기
브레드보드에 꽂는 방법, 코드분석까지!!
자세한 내용은 http://codingrun.com/55으로 와주세요!

아두 이노 led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아두이노 LED 제어하기 – 이지이지(EGEasy) – 티스토리

LED의 마이너스(-)와 아두이노 보드의 GND를 수수 점퍼선으로 연결합니다. ※ 아두이노 우노 R3 보드에는 GND가 세 곳 있습니다. 원하는 곳에 연결하면 …

+ 여기에 보기

Source: egeasy.tistory.com

Date Published: 5/25/2022

View: 9845

아두이노 예제 1. LED 깜빡이기 – 코딩런

우리는 LED를 보호하기 위한 저항을 달아야 하므로, R = V / I를 사용하면, LED의 필요전압은 2V이며, 소모전류는 10mA이다. 대부분의 아두이노 우노 보드 …

+ 여기에 표시

Source: codingrun.com

Date Published: 6/16/2022

View: 2317

[Arduino] 아두이노 LED 켜기, 파도치기 예제 – ISSAC.Min

LED란? 오늘 다뤄볼 아두이노에 관련된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이다. 사실 아마도 키트를 구입하셨던 분들이라면 LED가 가장 친근하지 …

+ 더 읽기

Source: issac-min.tistory.com

Date Published: 1/17/2021

View: 892

LED 제어 코드 작성 – 한 눈에 끝내는 아두이노 기초

아두이노(Arduino) 키트만 있다면 이미 갖추어진 실습환경에서 직접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하며 아두이노의 기본을 다질 수 있습니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edu.goorm.io

Date Published: 11/19/2022

View: 5015

아두이노 코드분석 (1) – LED제어 코드 – 네이버 블로그

오늘은 아두이노 코드분석을 하는 시간을 가질게요. 하드웨어를 구성한 후 코딩버드에서 제공하는 LED를 제어하는 코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7/25/2022

View: 5104

006. Arduino 아두이노 – LED 제어하기, 아두이노 LED 예제

아두이노로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LED(Light-Emitting Diode)를 이용한 테스트를 해보려 합니다 사진 출처: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zelkun.tistory.com

Date Published: 6/5/2022

View: 4157

아두이노 기본실습 1 – LED 점등실험 – 싸이피아SCIPIA

정확하게는 아두이노 우노보드의 디지털IO를 사용하여 LED를 2초 간격으로 ON/OFF(점멸)하게 합니다. 일반적인 LED의 경우 구동전압은 1.5-2V(고휘도 및 특수 LED는 구동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scipia.co.kr

Date Published: 8/25/2022

View: 3653

[아두이노 강좌] 01. LED 깜빡이기 – 가치창조기술 위키

여기서는 blink 예제에서 LED가 깜빡이는 속도 등을 조절하여 다시 아두이노를 재 프로그래밍 하여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두이노 IDE를 www.arduino.cc에서 다운받아 셋업 …

+ 더 읽기

Source: wiki.vctec.co.kr

Date Published: 7/12/2022

View: 2645

Blink | Arduino

This example shows the simplest thing you can do with an Arduino to see physical output: it blinks the on-board LED. Hardware Required. Arduino Board. optional.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arduino.cc

Date Published: 6/8/2022

View: 22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아두 이노 led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아두이노 예제1 LED 깜빡이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아두이노 예제1 LED 깜빡이기
아두이노 예제1 LED 깜빡이기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아두 이노 led

  • Author: 코딩런 IT [Codingrun IT]
  • Views: 조회수 71,230회
  • Likes: 좋아요 293개
  • Date Published: 2017. 1. 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pD16vmBQ4Lk

아두이노 LED 제어하기

안녕하세요. 이지이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거의 모든 아두이노 자료에서 처음 예제로 다루고 있는

LED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도 철저히 초보자의 관점에서 풀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시작전에! LED에서 다리가 긴 것(휘어진 것)은 +(플러스), 다리가 짧은 것은 -(마이너스) 입니다.

LED의 극

LED 1개 제어하기

먼저 LED 하나를 1초마다 깜빡이도록 회로를 구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필요 부품 ★

– LED: 1개

– 220Ω 저항: 1개

– 수수 점퍼선: 2개

※ 참고로 전 처음에 점퍼선 색깔에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었는데…

점퍼선의 색깔에는 의미가 있을 수도 있지만, 아무 색이나 써도 상관 없습니다.

LED 한 개 제어 회로도

★ 회로 구성 ★

1. LED를 적당한 위치에 꽂아줍니다.

2. 저항의 한 쪽 끝을 LED의 플러스(+)와 같은 라인에 꽂아줍니다.

3. 저항의 다른 한 쪽 끝과 아두이노 보드의 8번 핀을 수수 점퍼선으로 연결합니다.

※ 0~13번 핀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번호에 연결하면 됩니다.

4. LED의 마이너스(-)와 아두이노 보드의 GND를 수수 점퍼선으로 연결합니다.

※ 아두이노 우노 R3 보드에는 GND가 세 곳 있습니다. 원하는 곳에 연결하면 됩니다.

★ 코딩 ★

※ 첫 번째 실습 예제라 코드를 조금 상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void setup() // 1. { pinMode(8, OUTPUT); // 2. 8번 핀을 출력으로 설정합니다. } void loop() // 3. { digitalWrite(8, HIGH); // 4. HIGH: 전압이 5V(아두이노 보드 전압)로 설정됩니다. delay(1000); // 5. 1000ms동안 대기합니다. 1000ms=1초 digitalWrite(8, LOW); // 6. LOW: 전압이 0V로 설정됩니다. delay(1000); }

1. setup()

setup() 함수는 스케치가 시작될 때 호출됩니다.

변수나 핀 모드 설정,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설정합니다.

setup() 함수는 전원이 공급될 때, 또는 아두이노 보드에서 리셋을 눌렀을 때, 한 번만 실행됩니다.

2. pinMode(8, OUTPUT): 8번 핀을 출력으로 설정합니다.

pinMode는 pinMode(pin 넘버, mode)로 설정합니다.

mode에는 INPUT(입력), OUTPUT(출력), INPUT_PULLUP(풀업 저항)이 있습니다.

3. void loop()

loop() 함수는 계속해서 반복되는 함수로 실제로 아두이노 보드가 명령을 처리하는 함수입니다.

4 & 6. digitalWrite(8, HIGH): 8번 핀의 전압을 아두이노 보드의 공급 전원(우노 R3의 경우 5V)으로 설정합니다.

LOW일 경우에는 전압을 0V(ground)로 설정합니다.

digitalWrite는 digital(pin 넘버, value)로 설정합니다.

value는 HIGH 또는 LOW로 설정합니다.

5. delay(1000)

delay는 프로그램을 지연시키는 명령입니다.

숫자는 밀리세컨드 단위이며, 1000ms = 1초입니다.

LED 3개 제어하기

이번에는 세 개의 LED를 제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나당 1초씩 번갈아가며 깜빡이도록 하겠습니다.

★ 필요 부품 ★

– LED: 3개 (색이 다르면 더 구별하기 쉽겠죠?)

– 220Ω 저항: 3개

– 수수 점퍼선: 7개

LED 세 개 제어 회로도

★ 회로 구성 ★

1. 3개의 LED를 적당한 위치에 꽂습니다.

2. (각 LED 별로) 저항의 한 쪽 끝을 LED의 플러스(+)와 같은 라인에 꽂습니다.

3. 수수 점퍼선을 이용해 LED의 다른 한 쪽 끝을 아두이노 보드의 디지털입출력 핀과 연결합니다.

(빨간색: 10, 노란색: 9, 파란색: 8 / 여러분이 원하는 핀에 꽂으시면 됩니다.)

4. 각 LED의 마이너스(-)와 버스 띠의 마이너스(-)를 수수 점퍼선으로 연결합니다.

5. 버스 띠의 마이너스(-)와 아두이노 보드의 GND를 수수 점퍼선으로 연결합니다.

※ 버스 띠(+, – 부분)는 위의 이미지로 보자면 가로로 모두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5에서 하나의 점퍼 선만 GND로 연결하면 각각의 LED와 모두 연결되는 효과가 있는 것입니다.

★ 코딩 ★

void setup() { pinMode(8, OUTPUT); pinMode(9, OUTPUT); pinMode(10, OUTPUT); } void loop() { digitalWrite(10, HIGH); digitalWrite(9, LOW); digitalWrite(8, LOW); delay(1000); digitalWrite(10, LOW); digitalWrite(9, HIGH); digitalWrite(8, LOW); delay(1000); digitalWrite(10, LOW); digitalWrite(9, LOW); digitalWrite(8, HIGH); delay(1000); }

아두이노 전원(5V)을 통해 LED 1개 제어하기

제가 처음 아두이노를 공부하며 궁금했던 내용입니다.

‘왜 아두이노 보드의 5V에 부품을 연결하지 않고, 디지털입출력 핀에 연결하는 거지?’

디지털입출력 핀은 외부로 0V 또는 5V를 내보내거나 받아오는 역할을 합니다.

외부로 5V를 내보내는 경우 LED가 켜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LED를 5V에 연결하면?

LED를 출력으로 설정할 수 없어 HIGH또는 LOW 값을 내보낼 수 없기 때문에 그냥 항상 불빛이 들어오게 됩니다.

회로 구성만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코딩 부분에는 아무것도 넣지 않아도 상시로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LED가 계속 켜져있을 것입니다.

5V 전원 공급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여러분 스스로 다양하게 회로를 구성하고, 코딩해서 실습해보도록 하세요~~

아두이노 예제 1. LED 깜빡이기

LED(발광 다이오드)

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한 발광 다이오드이다. LED는 일반적으로 2개의 전극단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긴 단자쪽이 +(애노드 ANODE), 짧은 단자쪽이 -(캐소드 CATHODE)라고 한다. 따라서 각 단자마다 극성을 가지고 있고, 긴 단자(애노드)에 +를 짧은 단자(캐소드)에 -전극을 연결하면 된다.

전류가 지나치게 흐를경우 LED가 파손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저항을 달아주는것이 좋다.

저항을 고를 때에는 옴의법칙을 이용하여 저항을 선정한다.

옴의법칙

V(전압)=I(전류)*R(저항)

R(저항)=V(전압)/I(전류)

I(전류)=V(전압)/R(저항)

우리는 LED를 보호하기 위한 저항을 달아야 하므로, R = V / I를 사용하면, LED의 필요전압은 2V이며, 소모전류는 10mA이다.

대부분의 아두이노 우노 보드는 공급전압이 5V이기 때문에 R=(5V(공급전압) – 2V(LED 필요전압)) / 10mA(LED 소모 전류 세기) = 300Ω이 나오게 된다.

ex) 공급전압이 12V일 경우 (12V – 2V) / 10mA = 1KΩ

300Ω 저항을 사용하면 되고, 300Ω 저항이 없을 경우 근사치 저항을 사용하시면 된다. 필자는 330Ω 저항을 사용하였다.

준비물

아두이노, 브레드보드, 점퍼케이블 7개, LED 3개, 저항300Ω(330Ω) 3개

회로도

소스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int green = 12 ; //초록색 LED를 12번으로 int yellow = 10 ; //노란색 LED를 10번으로 int red = 8 ; //빨간색 LED를 8번으로 void setup() { pinMode(green, OUTPUT); pinMode(yellow, OUTPUT); pinMode(red, OUTPUT); //12, 10, 8번포트를 출력으로 설정 } void loop() { digitalWrite(green, HIGH); //초록불 켜기 digitalWrite(yellow, LOW); //노란불 끄기 digitalWrite(red, LOW); //빨간불 끄기 delay ( 1000 ); //1초 대기 digitalWrite(green, LOW); digitalWrite(yellow, HIGH); //노란불만 켜기 digitalWrite(red, LOW); delay ( 1000 ); digitalWrite(green, LOW); digitalWrite(yellow, LOW); digitalWrite(red, HIGH); //빨간불만 delay ( 1000 ); }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ex1__led.ino

결과 영상

[Arduino] 아두이노 LED 켜기, 파도치기 예제

반응형

LED란?

오늘 다뤄볼 아두이노에 관련된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이다. 사실 아마도 키트를 구입하셨던 분들이라면 LED가 가장 친근하지 않았을까? LED가 어떤 소자인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다뤄볼 생각(전자학도의 욕심)은 있지만 그냥 간단하게 이야기해서 빛을 내는 고체형 반도체로 생각하면된다.

그리고 다른 소자들보다 진짜로 우리 일상생활에서 알기모르게 찾아볼 수 있다. 바로 LED 조명이다. 요즘은 가정에서 대부분 형광등을 쓰지 않고 이런 LED 조명을 사용하는데 여러가지 면에서 형광등보다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

높은 에너지 효율, 친환경적 특징 등이 LED 조명의 강점. 또한 빛의 색상이나 온도, 밝기등의 제어가 참 용이합니다. 이러한 특성때문에 가정의 조명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랑을 받고 있다.

“우리의 삶에 변화를 가져다 주는 조명 LED”

[그림 1] 백열 전구

[그림 2] LED 전구

아두이노에서의 LED

키트를 구입하거나 구매처를 통해서 LED를 검색해보셨다면 우리가 실제로 사용하는 LED랑은 많이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데 구동방식에서 크게 다르진 않다. 형태만 다른것.

아마 가정용 조명을 뜯어보면 아래와 같은 줄 LED가 들어있을 것이다. 아니면 현관에 센서등도 요즘에는 [그림 2]와 같이 LED 전구를 쓰는 곳도 많이 있다.

[그림 3] 줄 LED

우리가 쓸 LED는 바로 아래 사진과 같은 LED이다. 우리는 이것을 LED 보다는 발광 다이오드라고 자주 부른다. 하지만 아두이노를 다루면서 굳이 LED! LED! 이것보단 간단하게 발광 다이오드라고 생각한다.

[그림 4] LED, 발광 다이오드

그렇다면 발광 다이오드의 구조는 어떨까?

“구글링!!!!”

[그림 5] 롸??

어려운건 아직은 알필요 없다. 알고 싶다면 당장 전자학도가 되는걸 추천한다. 정말 자세하게 알 수 있다.

그렇지만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기 위한 구조는 알고있어야한다.

“긴건 +, 짧은건 – !!”

[그림 6] 발광 다이오드

플라스틱 렌즈를 제외하고 우리눈에 보이는 돌출된 2개의 핀을 전자용어로 Lead라고 한다. 쉽게는 단자 또는 전극 단자라고 부른다. 그 중 기다란 친구는 에노드(Anode), 짧은 친구는 케소드(Cathode)라고 부른다.

“에노드는 + 단자, 케소드는 – 단자이며 이것은 우리가 회로를 설계할때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제 1] LED를 켜보자!

간단하게 발광 다이오드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니 이제 한번 아두이노를 통해서 발광 다이오드를 켜보도록 하자! 오늘은 3가지의 LED 예제를 준비했다.

첫번째 예제의 준비물은 아래와 같다.

준비물

부품명 부품사진 개수 아두이노 우노 보드 1 발광 다이오드 1 220옴 저항 1 점퍼선(수 – 수)

2

아두이노 구성

아두이노 우노 보드에서 GND란 그라운드를 이야기한다. 접지라고도 하며 – 단자에 연결하면된다.

LED 사진을 잘 보면 약간 구부려진 오른쪽이 + 곧은 선이 – 이다.

[그림 7] 아두이노 구성

아두이노 코딩

처음에 설치했던 Arduino IDE를 켜서 아래와 같은 코드를 집어 넣는다.

1 2 3 4 5 6 7 8 9 10 void setup() { pinMode( 7 , OUTPUT); } void loop() { digitalWrite( 7 , HIGH); delay( 1000 ); digitalWrite( 7 , LOW); delay( 1000 ); } cs

코드 설명을 간단히 하자면

– pinMode는 몇 번 핀에 소자를 연결했는가?

– digitalWrite는 몇 번 핀에 어떤 데이터를 보내겠는가?

– delay는 몇 초의 딜레이를 주겠나?

아두이노 구성에서 7번 디지털 핀에 LED를 연결했기 때문에 7로 핀연결을 정의하고 LED의 특성 중 HIGH는 불을 켠다. LOW는 불을 끄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delay에 들어가는 수는 ms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1초의 딜레이를 주기위해서는 1000ms를 적어 주면된다.

그렇다면 위의 코드는 1초마다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하는 코드가 되는 것.

아두이노 업로드

코딩을 했으니 실제로 돌아가는지 확인해보기 위해서는 아두이노 우노보드에 우리가 작성한 코드를 업로드해야한다.

Arduino IDE의 상단을 보면 툴을 눌러서 우리가 사용할 보드와 보드 포트를 설정한다.

현재 우리는 아두이노 우노 보드를 사용 중이니 보드는 Arduino Uno로 설정하고 포트는 컴퓨터와 우노보드를 연결하기 전 후에 다르게 새롭게 생성된 포트를 선택하면 된다.

이제 업로드만 하면 된다. 업로드는 상단에 툴 왼쪽에 있는 스케치 중 업로드를 클릭하면된다.

업로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아래의 컴파일 완료라고 적혀있는 부분이 업로드 완료.라는 창이 뜬다.

그리고 이제 우리가 구성했던 LED를 보자.

“성공!!!”

[예제 2] LED의 밝기를 조절해보자!

LED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첫번째 예제에서 하나의 소자를 변경하면 된다.

바로 저항! 첫번째에서 사용했던 저항 소자는 전문용어로 탄소피막 저항라고 생각하며 저항이 고정적이다. 나중에 이 저항을 구별하는 법도 포스팅하겠다.

각설하고 가변저항은 이름과 같이 변화하는 저항을 말한다. 당연히 저항의 값이 변화한다.

가변저항은 여러개가 있지만 주로 볼 수 있는 형태는 아래와 같다.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탄소피막 저항과는 다르게 가변저항은 핀이 3개인데 일반적으로 이 3개를 모두 사용하지 않는다. 주로 2개의 핀을 사용하며 중앙 핀이 기준이고 양 끝의 핀이 구동 핀이라고 본다.

즉, 양 끝의 핀을 꼽으면 가변이 아니라 가변저항의 최대 저항을 사용하게 된다.

준비물

부품명 부품사진 개수 아두이노 우노 보드 1 발광 다이오드 1 가변저항 1 점퍼선(수 – 수) 3

아두이노 구성

아두이노 업로드

업로드 코드 내용은 예제 1과 동일하게 업로드한다. 업로드가 완료되었다면 우리가 구성했던 LED를 보자!

그리고 바로 가변저항을 돌려보면 LED의 밝기가 변경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성공!!”

[예제 3] LED로 파도를 만들어보자!!

앞의 예제가 너무 지루하고 재미 없었을 수도 있다. 이제는 진짜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LED 파도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다. 크리스마스를 대비해서 조그마한 트리를 만들고 있는데 지금 예제와 원리를 크게 다르지 않다.

이번에는 마지막 LED 예제이니 LED도 10개 정도 사용해보자!

준비물

부품명 부품사진 개수 아두이노 우노 보드 1 발광 다이오드 10 220옴 저항 10 점퍼선(수 – 수)

21

아두이노 구성

아두이노 코딩 및 업로드

아래와 같이 코딩을 한 후 업로드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void setup() { pinMode( 13 , OUTPUT); pinMode( 12 , OUTPUT); pinMode( 11 , OUTPUT); pinMode( 10 , OUTPUT); pinMode( 9 , OUTPUT); pinMode( 8 , OUTPUT); pinMode( 7 , OUTPUT); pinMode( 6 , OUTPUT); pinMode( 5 , OUTPUT); pinMode( 4 , OUTPUT); } void loop() { digitalWrite( 13 , HIGH); delay( 100 ); digitalWrite( 13 , LOW); delay( 100 ); digitalWrite( 12 , HIGH); delay( 100 ); digitalWrite( 12 , LOW); delay( 100 ); digitalWrite( 11 , HIGH); delay( 100 ); digitalWrite( 11 , LOW); delay( 100 ); digitalWrite( 10 , HIGH); delay( 100 ); digitalWrite( 10 , LOW); delay( 100 ); digitalWrite( 9 , HIGH); delay( 100 ); digitalWrite( 9 , LOW); delay( 100 ); digitalWrite( 8 , HIGH); delay( 100 ); digitalWrite( 8 , LOW); delay( 100 ); digitalWrite( 7 , HIGH); delay( 100 ); digitalWrite( 7 , LOW); delay( 100 ); digitalWrite( 6 , HIGH); delay( 100 ); digitalWrite( 6 , LOW); delay( 100 ); digitalWrite( 5 , HIGH); delay( 100 ); digitalWrite( 5 , LOW); delay( 100 ); digitalWrite( 4 , HIGH); delay( 100 ); digitalWrite( 4 , LOW); delay( 100 ); } cs

“성공!!!”

반응형

한 눈에 끝내는 아두이노 기초

오른쪽 에디터의 주어진 코드가 의미하는 것은 13번 LED를 1초 간격으로 켜고, 끄고를 반복하는 코드입니다.

위 코드에 대해서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합니다.

먼저 setup 함수를 보면 pinMode 라는 함수가 쓰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inMode 함수는 핀 번호와 모드를 정해줌으로써, 특정 핀의 입력과 출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 예제의 경우에는 13 번 핀을 이용하고 출력이기 때문에 13, OUTPUT 이라는 값을 넘겨주었습니다.

그리고 다음은 loop 함수입니다. 가장 먼저 digitalWrite 함수가 보입니다. digitalWrite 함수의 경우에는 해당 핀에 출력을 주는 것으로, 전류를 공급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하셔도 좋습니다. HIGH(= 5V 전류)와 LOW( = 0 V 전류 차단) 두 가지 상태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코드에서는 digitalWrite(13, HIGH); 로 전류를 주어 LED를 켜고 digitalWrite(13, LOW); 로 전류를 차단하여 LED를 끕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남은 건 delay 함수입니다. delay 함수는 단어 그대로 지연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주어진 코드에서는 LED를 켜고 끌 때 1초 지연을 주고 있습니다.

여기서 delay 함수에 쓰이는 단위는 ms 로 1ms 는 0.001초이고 1000ms 라면 1초가 됩니다.

함수들에 대해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pinMode(pin, mode);

– 기능 : 특정 디지털 입출력 핀을 입력 또는 출력으로 설정

– 매개변수 : pin -> 디지털 핀 번호, mode -> INPUT or OUTPUT

digitalWrite(pin, mode);

– 기능 : 디지털 핀에 HIGH or LOW를 쓴다.

– 매개변수 : pin -> 디지털 핀 번호, mode -> HIGH or LOW

delay(ms)

– 기능 : 디지털 핀에 지연 시간

– 매개변수 : ms -> 1 당 0.001 초

아두이노 코드분석 (1) – LED제어 코드

5. void loop() : loop() 는 반복적으로 정해진 명령어를 실행 해요. 이곳에 명령어를 넣으면 해당 명령어는 지속해서 실행됩니다. 여기서는 대괄호로 묶어진 부분을 순서대로 반복해서 실행합니다.

6. digitalWrite(13, HIGH) : digitalWrite는 아두이노의 특정 핀을 전압이 높은 HIGH 상태로 만들거나 전압이 낮은 LOW 상태로 만드는 함수예요. 여기서는 13번 핀(LED)을 HIGH(켜다) 상태로 만들어주었어요 .

7. delay(500); : delay는 원래 ‘미루다’는 뜻이에요. 여기서는 멈춘다는 뜻으로 쓰였어요. 괄호 안에 500은 millisecond(밀리초) 단위를 사용해요. 밀리초는 1000분의 1초로 여기서는 0.5초가 됩니다. 따라서 LED가 켜진 상태로 0.5초간 멈춘다는 의미 로 사용됐어요.

8. digitalWrite(13, LOW) : 6번째 줄과는 반대로 13번 핀(LED)를 다시 꺼주었어요(LOW) .

9. delay(500) : 역시 LED가 꺼진 상태로 0.5초간 멈추도록 했어요 .

그럼 코드를 업로드하고 결과값을 확인해볼까요?

LED 제어하기, 아두이노 LED 예제

반응형

아두이노로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LED(Light-Emitting Diode)를 이용한 테스트를 해보려 합니다

사진 출처: https://github.com/Bouni/Arduino-Pinout

사진 : Fritzing

핀 배치는 위처럼

GND를 LED의 짧은 선에

13번 핀을 LED의 긴 선에

연결하면 됩니다

매우 간단하죠?

LED는 직렬 전류를 이용하며

긴 선이 +전압을 받고

짧은 선이 -전압을 받습니다

GND는 Digital Ground 를 뜻하며

접지, 기준전압 등등 어려운 말들이 많이 있지만

– 극으로 생각하면 편합니다…

이제 실제 코드를 볼까요 – https://www.arduino.cc/en/Reference/DigitalWrite

int ledPin = 13; // LED connected to digital pin 13 void setup(){ pinMode(ledPin, OUTPUT); // sets the digital pin 13 as output } void loop(){ digitalWrite(ledPin, HIGH); // set the LED on delay(1000) // waits for a second digitalWrite(ledPin, LOW); // set the LED off delay(1000) // waits for a second }

digitalWrite(13, HIGH); 으로 작성해도 되지만

핀번호 변경에 유연함을 위해 변수로 사용했네요

동영상을 첨부했는줄 알았는데 안되있어 다시 올립니다

잘 되네요

이번에 하려는 예제는 원래 잘 안하는데

GND 없이 LED를 켤 수 있습니다

digitalWrite(ledPin, LOW); 을 이용하는겁니다

디지털 입/출력은 결국은 1(+) / 0(-) 이니까요

사진 : Fritzing

GND에 연결된선을 12번 핀으로 이동합니다

int ledPin = 13; // LED connected to digital pin 13 int gndPin = 12; void setup(){ pinMode(ledPin, OUTPUT); // sets the digital pin 13 as output pinMode(gndPin, OUTPUT); digitalWrite(gndPin, LOW); } void loop(){ digitalWrite(ledPin, HIGH); // set the LED on delay(1000) // waits for a second digitalWrite(ledPin, LOW); // set the LED off delay(1000) // waits for a second }

12번 핀은 loop에서 사용할 필요가 없으니

setup에다 넣었습니다

실행해보면

잘되네요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근데 한개만 해보면 재미없으니 3개를 제어해보죠

사진 : Fritzing

검은색이 GND이고 2, 3, 4 번 핀을 사용했어요

4번이 빨강, 3번이 녹색, 2번이 파랑 입니다

int red = 2; int green = 3; int blue = 4; void setup() { Serial.begin(9600); Serial.println(“LED TEST START”); pinMode(red, OUTPUT); pinMode(green, OUTPUT); pinMode(blue, OUTPUT); } void loop() { Serial.println(“RED LED on”); digitalWrite(red, HIGH); digitalWrite(green, LOW); digitalWrite(blue, LOW); delay(1000); Serial.println(“GREEN LED on”); digitalWrite(red, LOW); digitalWrite(green, HIGH); digitalWrite(blue, LOW); delay(1000); Serial.println(“BLUE LED on”); digitalWrite(red, LOW); digitalWrite(green, LOW); digitalWrite(blue, HIGH); delay(1000); }

근데 코드가 식상하니

프로그램처럼 바꿔 봅시다

int ledPin[] = { 2,3,4 }; //2 red, 3 green, 4 blue char color[] = { ‘r’, ‘g’, ‘b’ }; void setup() { Serial.begin(9600); //시리얼 모니터 통신 속도 Serial.println(“RGB LED START”); for (int i = 0; i < sizeof(ledPin); i++) { pinMode(ledPin[i], OUTPUT); } } void loop() { for (int i = 0; i < sizeof(ledPin); i++) { Serial.print(color[i]); Serial.print(" on"); for (int j = 0; j < sizeof(ledPin); j++) { digitalWrite(ledPin[j], LOW); //전체 LED } digitalWrite(ledPin[i], HIGH); //LED on delay(100); //지연시간 추가 } } 동일한 기능을 하는 소스이지만 뭔가 어렵죠? 반복문을 2번사용한건 각 색상별로 LED에 HIGH으로 전기가 들어가면 안 꺼지기 때문에 전부 LOW 시키고 다시 HIGH 시켜서 색상별로 불이 들어옵니다 digitalWrite(ledPin[j], LOW); 부분을 주석처리하면 3색이 전부 불이 들어올테니 확인해보시길 바래요 관련글 [embedded/arduino] - 006. Arduino 아두이노 - LED 제어하기, 아두이노 LED 예제 [embedded/arduino] - 007. Arduino 아두이노 - 2색, 3색 LED 제어하기, 아두이노 3색 LED 예제 반응형

[아두이노 강좌] 01. LED 깜빡이기

임베디드 오픈소스 ‎ > ‎ 아두이노 ‎ > ‎ [아두이노 강좌] 01. LED 깜빡이기 본 게시물에서는 아두이노 를 프로그래밍하여 아두이노 상의 LED를 깜빡거리게 하는 내용을 설명합니다. 필요한 장비 이름 수량 Arduino Uno R3 1 USB케이블 (type A-B) 1 보드상의 L표시 LED 아두이노는 양쪽 사이드에 일렬의 커넥터를 가지고 있어 다른 디바이스를 연결하거나 쉴드등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두이노 보드상에도 LED를 하나 가지고 있어 스케치에서 제어를 할 수 있는데 LED옆에 L이라고 표시가 되어 있어 흔히 L LED라고 부릅니다. (아래에 동그라미로 표기된 부분 참조) ‘Blink’ 예제 로딩하기 아두이노에 USB케이블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아두이노의 LED가 이미 깜빡이는 것을 볼 수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보통 아두이노를 생산할때 미리 blink 스케치를 인스톨하였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여기서는 blink 예제에서 LED가 깜빡이는 속도 등을 조절하여 다시 아두이노를 재 프로그래밍 하여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두이노 IDE를 www.arduino.cc에서 다운받아 셋업하고, 올바른 시리얼 포트를 찾아 아두이노를 컴퓨터와 통신가능한 상태로 만듭니다. 이 통신연결을 이용하여 아두이노에 프로그래밍을 하겠습니다. 아두이노 IDE는 사용가능한 많은 예제 스케치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Blink 스케치는 IDE의 메뉴 File –> Examples –> 0.1 Basics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스케치 윈도우가 열리면 적절하게 화면 크기를 조절하여 스케치 전체가 보일 수 있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Blink 스케치 복사본 저장하기 아두이노 IDE에 포함된 예제 스케치 파일들은 읽기만 가능합니다. 수정을 하려면 다른 파일 형태로 저장을 하여 주어야 합니다. IDE에서 Save As 옵션을 선택하여 ‘MyBlink’라는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저장을 하게 되면 sketchbook에서 MyBlink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차후에 다시 스케치 코드를 살펴보려면 File –> Sketchbook 메뉴에서 스케치를 로드 할 수 있습니다. 보드에 스케치 업로드 하기 아두이노 보드를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컴퓨터에 연결하고 Board Type과 Serial Port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아두이노 IDE의 하단을 보면 현재 셋팅되어 있는 환경이 나타납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생신 Upload버튼을 클릭합니다. IDE의 하단의 상태영역을 보면, 프로그레스바와 메세지가 나타나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스케치를 컴파일한다고 나타나 있네요. ” target=_blank> 컴파일이 끝나니 상태영역에 Uploading이라는 메세지가 나타났습니다. 컴파일된 스케치가 아두이노로 전송이 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아두이노상의 LED가 깜빡거립니다. 상태가 Done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target=_blank> 그리고 업로딩한 스케치가 전체 32,256 바이트에서 1,084 바이트를 사용하고 있다고 말해주고 있습니다. 만약 컴파일중에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가 나타난다면 아마도 보드가 컴퓨터와 연결되지 않아서 나타나거나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거나 잘못된 시리얼 포트가 선택되어 나타나는 문제입니다. 업로드가 끝나면 리셋되고 LED가 깜빡이기 시작합니다. Blink 스케치 코드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아래는 blink 스케치 코드입니다. /* Blink Turns on an LED on for one second, then off for one second, repeatedly. This example code is in the public domain. */ // Pin 13 has an LED connected on most Arduino boards. // give it a name: int led = 13 ; // the setup routine runs once when you press reset: void setup () { // initialize the digital pin as an output. pinMode ( led , OUTPUT ); } // the loop routine runs over and over again forever: void loop () { digitalWrite ( led , HIGH ); // turn the LED on (HIGH is the voltage level) delay ( 1000 ); // wait for a second digitalWrite ( led , LOW ); // turn the LED off by making the voltage LOW delay ( 1000 ); // wait for a second } 첫번째 코드는 보는 바와 같이 아래와 같습니다. int led = 13 ; 코드에 코멘트로도 설명이 되어 있지만 led라는 변수를 선언하여 이름을 부여하고 led가 붙어 있는 13핀을 의미하는 숫자 13이 할당되었습니다. 다음으로는 setup 함수가 나와 있는데 이 함수는 아두이노가 리셋되고 한번만 실행이 되는 함수입니다. 그렇게 때문에 대부분 초기화 관련 루틴을 넣어 사용하는 함수 입니다. void setup () { // initialize the digital pin as an output. pinMode ( led , OUTPUT ); } 모든 아두이노 스케치는 반드시 setup 함수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여기에서는 LED핀을 출력모드로 설정하라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모든 스케치에 setup함수가 포함되어야 하는 것처럼 loop함수도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setup함수가 리셋후 한번만 실행되는 것과는 달리 loop함수는 계속 반복 됩니다. void loop () { digitalWrite ( led , HIGH ); // turn the LED on (HIGH is the voltage level) delay ( 1000 ); // wait for a second digitalWrite ( led , LOW ); // turn the LED off by making the voltage LOW delay ( 1000 ); // wait for a second } loop 함수안에는 LED핀을 켜는(HIGH) 명령이 있으며, 1초동안 딜레이 후 LED핀을 끄는 명령을 담고 있으며, 끈 후에도 역시 1초동안 딜레이를 주는 명령으로 작성되어 습니다. 깜빡이는 속도변경하기 LED가 깜빡이는 속도를 변경시키려면 무엇을 변경해야 할까요? delay함수의 파라메터값인 1000을 변경하면 LED가 깜빡이는 속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만약 1000을 500으로 변경한 후 컴파일하여 업로딩한다면 LED가 이전 보다 두배 빨리 깜빡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Blink

Blink

This example shows the simplest thing you can do with an Arduino to see physical output: it blinks the on-board LED.

Hardware Required

Arduino Board

optional

LED

220 ohm resistor

Circuit

This example uses the built-in LED that most Arduino boards have. This LED is connected to a digital pin and its number may vary from board type to board type. To make your life easier, we have a constant that is specified in every board descriptor file. This constant is LED_BUILTIN and allows you to control the built-in LED easily. Here is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nstant and the digital pin.

D13 – 101

D13 – Due

D1 – Gemma

D13 – Intel Edison

D13 – Intel Galileo Gen2

D13 – Leonardo and Micro

D13 – LilyPad

D13 – LilyPad USB

D13 – MEGA2560

D13 – Mini

D6 – MKR1000

D13 – Nano

D13 – Pro

D13 – Pro Mini

D13 – UNO

D13 – Yún

D13 – Zero

If you want to lit an external LED with this sketch, you need to build this circuit, where you connect one end of the resistor to the digital pin correspondent to the LED_BUILTIN constant. Connect the long leg of the LED (the positive leg, called the anode) to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Connect the short leg of the LED (the negative leg, called the cathode) to the GND. In the diagram below we show an UNO board that has D13 as the LED_BUILTIN value.

The value of the resistor in series with the LED may be of a different value than 220 ohm; the LED will lit up also with values up to 1K ohm.

Schematic

Code

After you build the circuit plug your Arduino board into your computer, start the Arduino Software (IDE) and enter the code below. You may also load it from the menu File/Examples/01.Basics/Blink . The first thing you do is to initialize LED_BUILTIN pin as an output pin with the line

pinMode(LED_BUILTIN, OUTPUT);

In the main loop, you turn the LED on with the line:

digitalWrite(LED_BUILTIN, HIGH);

This supplies 5 volts to the LED anode. That creates a voltage difference across the pins of the LED, and lights it up. Then you turn it off with the line:

digitalWrite(LED_BUILTIN, LOW);

That takes the LED_BUILTIN pin back to 0 volts, and turns the LED off. In between the on and the off, you want enough time for a person to see the change, so the delay() commands tell the board to do nothing for 1000 milliseconds, or one second. When you use the delay() command, nothing else happens for that amount of time. Once you’ve understood the basic examples, check out the BlinkWithoutDelay example to learn how to create a delay while doing other things.

Once you’ve understood this example, check out the DigitalReadSerial example to learn how read a switch connected to the board.

See Also

setup()

loop()

pinMode()

digitalWrite()

delay()

AnalogReadSerial – Read a potentiometer, print its state out to the Arduino Serial Monitor.

BareMinimum – The bare minimum of code needed to start an Arduino sketch.

DigitalReadSerial – Read a switch, print the state out to the Arduino Serial Monitor.

Fade – Demonstrates the use of analog output to fade an LED.

ReadAnalogVoltage – Reads an analog input and prints the voltage to the serial monitor.

Last revision 2015/07/28 by SM

키워드에 대한 정보 아두 이노 led

다음은 Bing에서 아두 이노 led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아두이노 예제1 LED 깜빡이기

  • 아두이노
  • 무료 아두이노
  • 아두이노 강좌
  • 아두이노 강의
  • 아두이노 무료 강좌
  • 아두이노 무료 강의
  • 아두이노 led
  • 아두이노 led깜빡이기
  • 아두이노 예제
  • 아두이노 실습
  • 아두이노 프로젝트
  • 아두이노 led 깜박이기

아두이노 #예제1 #LED #깜빡이기


YouTube에서 아두 이노 led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두이노 예제1 LED 깜빡이기 | 아두 이노 led,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봉 오동 전투 홍범도 | 홍범도 장군님의 생애와 봉오동 전투 이야기 | 선을 넘는 녀석들 리턴즈 | Tvpp | Mbc 201025 방송 23034 투표 이 답변

Leave a Comment